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with 초본

주민등록 등본 인터넷 발급 및 초본 인터넷 발급 사전 준비물

  1. 본인 인증 수단(간편인증) or 공동인증서
  2. PC
  3. 출력 가능한 프린터

이번에 부동산 관련된 업무를 볼 경우가 생겼는데 오래간만에 온라인으로 주민등록 등본 및 초본을 발급을 받아야 할 경우가 생겼습니다.

 

주민등록 초본 같은 경우는 등기 접수를 할 때 필요하기도 합니다.처음에 오프라인으로 서류를 구비하여서 제출을 하였는데 누락이 되어서 새로 발급을 받아야 했는데 평일이고 동선간 시간 소비가 심해서 간만에 온라인으로 출력 후 낼 수 있게 되었네요.

 

서두에도 있듯이 준비를 해야 하는 부분은 별도 서류는 없으며 인증 할 수단이 있으면 됩니다. 요즘은 공동인증서 이외에도 간편인증 수단도 지원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은 한두개쯤은 만들어 두면 두루 요긴하게 쓰입니다.

대부분의 문서는 출력을 할 수 있는 곳이 몇군데 정해져 있으므로 준비물만 다 가지고 있다면 별도의 복잡한 절차 없이 인증 후 인쇄를 하면 됩니다. 한번이 어려울 뿐이지 한두번 이용하다 보면 그 편리함 때문에 계속 이용을 하게 됩니다.

 

물론 자주자주 사용을 하는 문서가 아니다보니 사용횟수는 그렇게 높지는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정부24에 별도로 가입이 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며 간편인증을 통해서 인증 후 출력을 진행하였습니다.

 

주민등록등본이나 초본을 인터넷 발급 하는 방법은 같기 때문에 출력 직전 항목에서 선택하여 구별만 하면 되는 부분입니다.

 

어렵지는 않지만 자주 이용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금방 잊어버리고 기억이 안나면 왜인지 모르게 꺼려지게 마련이라서 오프라인으로 주민센터를 방문하는 경우도 있는데 오늘은 저와 함께 꼼꼼히 알아보도록 해요

 

우선적으로 주민등록등본을 온라인에서 떼려면 정부24 홈페이지를 방문을 하셔야 합니다.

보통 자주 찾는 서비스는 첫화면에 나와 있는데 이중에서 주민등록등본(초본)메뉴도 함께 있습니다. 없다면 전체서비스 메뉴를 눌러서 찾아보시면 됩니다.

정부24 홈페이지 바로가기

참고로 방문해서 해야 할 경우는 1통당 400원이고 주민등록증 등의 신분증을 들고 가셔야 발급이 됩니다. 반면 인터넷으로 받을 경우에는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온라인에서 걸리는 시간은 신청 후 바로 출력을 하시면 되니 프린터와 a4용지를 미리 잘 준비하셔야 하겠죠. 

발급 버튼을 누르면 비회원 회원을 선택하는 창이 뜨게 됩니다. 아이디가 있으면 로그인을 하시면 되며 이 때 몇가지의 보안프로그램이 설치가 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가 되는 과정으로 넘어갑니다.

 

저는 비회원으로 주민등록등본을 인터넷으로 신청 및 인증을 할 예정이기 때문에 오른쪽 비회원 신청하기를 선택합니다.

비 회원 신청시에 고유식별정보나 몇가지에 대해서 동의 하는 화면이 나오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그리고 아래쪽에 보시면 이름과 주민번호 및 폰 번호를 입력하는 란이 나옵니다. 

본인에 맞게 입력을 하시고 숫자 입력 후 확인을 누르면 잠시 페이지 로딩 창이 나옵니다. 그냥 기다리기만 하면 됩니다.

그 다음은 주민등록상의 주소를 선택하고 발급 형태와 수령방법을 선택하는 란이 나옵니다. 주민등록등본의 경우 발급 부분은 그대로 두면 되고 수령방법은  

온라인 발급(본인출력)

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수령방법은 이 외에도 몇가지가 있습니다. 온라인발급 전자문서지갑이나 3자제출 및 등기/일반 우편등의 메뉴가 있습니다.

참고로 등본 같은 경우는 이러한 형태로 진행을 하시면 되는데요. 초본은 이 부분이 약간 틀립니다.

 

 

초본의 경우는 본인이나 세대 구성원 중의 다른 부분도 선택해서 출력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남편이 아내의 초본을 출력을 해야 할 때 다른 세대 구성원을 선택해서 출력 하시면 되겠죠.

참고로 등본이나 초본은 한페이지에서 신청을 하기 때문에 위쪽의 메뉴탭을 잘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흰색으로 보이시는 부분이 현재 진행 상태가 되겠죠. 초본을 출력하기 위해서 발급을 눌러도 최초는 등본이기 때문에 위쪽에서 변경을 해주셔야 합니다.

 

이 후 과정은 무엇을 선택하더라도 똑같은 방식으로 인터넷 발급을 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 인증 수단을 활용해서 인증을 하고 그 다음 신청 확인 후 출력을 하는 형태가 됩니다.

 

그리고 인증을 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앞서 말씀드렸던 간편인증이나 공동/금융인증서등을 통한 내용이 나오게 됩니다.

간편인증 수단은 꽤나 다양하게 제공이 되고 있는데요. 인증을 할 수 있는 휴대폰과 그와 관련된 앱이 있어야 하겠죠.

저는 폰에는 인증서가 있지만 pc에는 없어서 또 옮겨야 하는 과정이 번거로워서 이번에 처음으로 간편인증을 통해서 해결을 하였습니다.

 

네이버 인증서를 비롯하여 통신사패스, 국민은행 모바일 인증서, 페이코, 카카오 인증서, 삼성패스, 신한인증서를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간편인증을 선택 후 이름과 주민번호 폰 번호를 입력을 하면 됩니다.

 

저는 이중에서 kb모바일 인증서를 선택을 하였습니다.인증 방식은 관련앱이 있다면 대부분 비슷하게 진행이 됩니다. 

요청 후 -> 폰 푸쉬로 알림이 오면 눌러 들어가서 인증서 비번을 누르고 승인 후 다시 pc의 주민등록등초본 화면에서 확인을 누른 후 다음페이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국민은행 모바일 인증서라면 푸쉬 알림으로 확인을 요하는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그럼 들어가서 비번이나 패턴, 지문등을 넣고 확인 하시면 간편하게 완료가 됩니다.

kb모바일 인증서의 경우는 아래와 같이 됩니다. 요청 기관은 정부24로 나옵니다.

완료 후에는 pc화면에서 확인을 누르시면 신청 목록 화면으로 나옵니다. 민원사무명은 주민등록표등본교부로 나오고 처리상태에 문서 출력 부분이 보입니다.

출력시 문서출력부분을 선택 하시면 출력을 할 수 있는 새창이 뜨게 됩니다. 출력을 할 시에도 앞서 말씀드렸던 인증과정이 한번 더 나오게 되니 보이는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등본이나 초본은 똑같은 방식이며 세부 옵션이 조금 다를뿐입니다. 문서출력을 한 뒤 출력 후 이상이 없으면 창을 닫고 완료를 하시면 되겠죠?

 

이렇게 정부24에서 할 수 있는 주민등록등본 인터넷 발급 과정을 상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참고로 초본의 경우 본인이 아닌 구성원의 내용을 출력을 해야 할 경우에는 세대 구성원을 불러오는 과정에서 인증이 한번 더 진행이 됩니다.

 

구성원 중에 출력할 분을 선택 후 다음 과정으로 이어하면 되는데 오프라인으로 가서 발급을 해도 되지만 같은 문서가 여건이 되고 프린터가 있다면 앉은 자리에서 볼 수 있어서 시간적이나 동선적으로도 편리함을 주는것은 사실입니다.

 

네이버나 카카오, 각 은행 인증서 등은 발급 과정이 그렇게 어려운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미리 받아 놓으시면 여기저기 필요할 때 생각보다 요긴하게 사용을 하실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정리를 해보자면 여러 간편인증서를 활용해서 비회원으로 컴퓨터 앞에서 무료로 주민등록등본/초본(영문포함) 출력을 할 수 있습니다.